1 / 3
" 차량공유업체"으로 검색하여,
2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브라질에 있는 열대우림인 아마존은 ‘지구의 허파’라고 불릴 정도로 흡수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배출하는 산소량이 막대하다.하지만 목재와 농경지 확보 목적으로 벌목을 강행하면서 본래의 기능을 점차 상실하고 있다. 탄소 배출량이 증가하면 지구온난화는 더욱 가속화된다.인류의 가장 소중한 자연자원 중 하나인 아마존과 동일한 명칭을 가진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은 기후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고 공표했다.그러나 막대한 양의 화물을 배송하고 대량의 전기가 필요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영위하면서 표면적으로만 환경을 위한다는 그린 워싱(Green Washing)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아마존은 메타·트위터·구글과 마찬가지로 내부고발로 홍역을 치뤘지만 여전히 환경 관련 경영전략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특히 내부고발이 비법이나 윤리적인 이슈와 연관되면 적극적으로 반박하며 부정적인 여론을 희석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아마존에서 발생한 내부고발을 분석해 보자.▲ 아마존의 내부고발 진행 내역 [출처=국가정보전략연구소(iNIS)]◇ 해고한지 1년 6개월 만에 내부고발자 요구 수용아마존은 2020년 4월 사용자경험 디자이너로 근무하던 에일리 커닝햄(Emily Cunningham)과 마렌 코스타(Maren Costa)를 해고했다.이들이 기자회견과 집회 등을 통해 아마존의 경영방침을 비난했기 때문이다. 아마존의 내부고발 진행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먼저 커닝햄과 코스타는 근무하다가 내부 직원과 토론과정을 거치며 회사의 경영방침이 잘못됐다고 판단했다. 이들은 2018년 회사가 환경 보호를 위해 더 많은 의무를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소규모 모임에 가입했다.모임은 직원 400명이 가입한 ‘환경 정의를 위한 아마존 직원’이라는 환경단체로 성장했고 8700명 이상의 직원으로부터 지지를 획득했다. 모임이 토론하는 주제는 크게 2가지다,하나는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아마존의 역할에 대한 고민이다. 다른 하나는 창고직원에게 더 나은 근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기술직원과 창고직원 대화 필요성이다. 창고직원은 사무실에 근무하는 기술직원에 비해 근로 조건이 열악하기 때문이다.다음으로 내부고발자는 2019년 1월 경영진을 만나 기후 변화 계획을 발전시키기 위한 제안을 받아들이라고 요구했다. 동년 2월 아마존은 이산화탄소 감축 계획을 공개하며 직원에게 환경 제안을 철회하라고 지시했다.2019년 5월 커닝햄은 주주총회장에서 최고경영자(CEO)인 제프 베조스에게 직원의 요구를 수용하라고 말했지만 거부당했다. 아마존은 2020년 4월 커닝햄과 코스타를 해고했다. 이들은 정부 노동관계위원회(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NLRB)에 부당 해고라며 제소했다.마지막으로 2021년 4월 NLRB는 아마존이 내부고발자를 부당하게 해고했다며 시정하라고 명령했다. 만약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아마존은 해고 사유는 근무환경에 대한 공개 발언이 아니라 내부 규정 위반이라고 반박했다.결국 2021년 11월 아마존은 NLRB의 명령을 받아들여 해고한 커닝햄과 코스타와 합의했다. 합의 내용은 크게 2가지로 구성됐다.하나는 미지급 급여를 정산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권리를 주장하거나 조직을 구성한다는 이유로 기술직원 및 창고직원을 해고하지 않겠다며 공표하는 것이다.해고된 직원에게 지급하지 않은 급여를 정산하는 것은 당연한 의무다. 하지만 노동조합이 아닌 비공식 직원 모임조차도 보호해야 한다는 것은 진일보된 조치라고 봐야 한다. ◇ 직원의 공적활동 범위를 제한하는 규정은 무효우리나라는 내부고발로 해고된 직원이 새로운 직장을 찾기란 매우 어렵다. 내부고발자를 배신자나 사회 부적응자로 냉대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이다. 2020년 4월 아마존에서 해고된 코스타는 2021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의 디자인 책임자로 입사했다.코스타는 마이크로소프트에 입사한 이후에도 환경에 관심을 갖고 다양한 활동을 벌였다. 결국 마이크로소프트 주주들은 회사가 직원 퇴직 펀드의 기후 영향에 관해 공개하라고 투표했다. 아마존의 내부고발이 주는 사회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첫째, 직원이 근로계약서에 포함된 규정을 위반해 회사 경영방침을 공개적으로 반대할 수 있는지 여부다. 아마존의 내부 규정에 따르면 직원은 기업의 허락과 이사회의 동의를 받지 않고 자체 사업에 관해 외부에 공개적으로 의견을 표명할 수 없다.2020년 4월 아마존이 내부규정 위반을 빌미로 커닝햄과 코스타를 해고하자 민주당 소속 매세추세츠주 상원 의원인 엘리자베스 웨렌(Elizabeth Warren)이 아마존 경영진에 항의 서한을 발송했다.또한 아마존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클라우드 컴퓨팅 그룹의 전 부회장이자 내부 혁신가인 팀 브레이(Tim Bray)가 불만을 표명하며 사직했다.NLRB가 아마존의 해고가 불법이라고 판단한 이후에서야 논란은 종결됐다. 직원도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 중 한명이기 때문에 기업의 경영전략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하거나 조언할 수 있다. 사내 모임을 결성하는 것도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에 포함된다.둘째, 기술직원과 창고직원의 노동 조건의 차이에 대해 누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 논란이다. 기술직원은 창고직원과 배송직원이 가장 효율적으로 업무할 수 있도록 이동 동선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창고직원의 일자리를 줄일 로봇을 개발하는 것도 기술직원의 몫이다.코로나19로 감영의 공포로 사람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배송 물량이 급증했다. 창고직원과 배송직원 모두 화장실조차 가기 힘들 정도로 격무에 시달렸다.코로나19 대유행 이후 방역을 위해 공중화장실이 폐쇄돼 배달직원이 플라스틱병에 소변을 본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예상치 못한 교통 혼잡이라도 생기면 배송시간에 쫓겨 식사를 거르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아마존은 차량공유업체 우버, 배송업체 UPS 등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어 자사만의 문제는 아니라고 항변했다. 미국에서만 4만 명의 기술직원과 12만5000명의 창고직원을 고용하고 있는 아마존은 ‘지구에서 가장 좋은 고용주’라는 슬로건으로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아마존의 내부고발이 제기되기 전까지 기술직원이 창고직원의 근무조건을 감안해야 한다는 주장이 없었다. 각자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분야에서만 효율성을 높이면 그만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노동자와 노동자 간의 갈등을 상호 호혜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선례를 남겼다.셋째, 직원이나 내부 모임에 허용될 수 있는 공적 활동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모호해 확정할 필요가 있다. 내부고발자는 아마존이 석유·가스업체와 거래를 중단해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아마존은 글로벌 국가를 대상으로 영업을 하는 전자상거래업체로 빠른 배송이 경쟁력이다. 배송업무는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을 모두 동원해야 하기 때문에 연료를 공급할 에너지업체와 협력은 필수불가결하다.그렇다고 내부고발자가 실천 가능한 경제적인 대안을 제시한 것도 아니다. 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를 완벽하게 대체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도 고려해야 한다.기후변화와 같은 환경문제는 회사 직원의 신분을 넘어 사회 구성원으로서 비판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아마존이 직원 내부 모임의 주제를 너무 제한했다고 봐야 한다. 직원의 환경 인식 강화는 기업의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 경영 측면에서도 유리하므로 적극 장려해야 한다. - 계속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 [출처=iNIS] *칼럼 내용 문의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stmin@hotmail.com)
-
2019-06-18인도 정부에 따르면 2030년까지 국내 차량을 전기자동차(EV)로 100%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청정 국가로 전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국내 차량공유업체인 올라(Ola)와 우버(Uber) 등에게 2026년 4월까지 보유하고 있는 전체 차량의 40%를 전기자동차로 전환할 것을 지시할 계획이다.자동차 산업의 인프라시설 구축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벌기 위해 2021년까지 2.5%, 2022년까지 5%, 2023년까지 10%, 2026년까지 40%로 각각 순차적으로 진행될 계획이다.2019년 3월말 기준으로 1년 동안 전기자동차 판매량 3600대를 기록했다. 동기간 판매된 디젤 및 가솔린 자동차 330만대의 0.1%에 불과한 수치이다.▲정부 로고
-
2018-09-07필리핀 육상교통가맹규제위원회(LTFRB)에 따르면 차량공유업체인 그랩(Grab)의 승객들은 1분당 P2페소의 요금을 배상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그랩(Grab)은 2017년 6월 5일 1분당 2페소의 요금을 부과했지만 정부로부터 중단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하지만 7월 9일 부과한 1000만페소의 벌금은 유효하다.현재 그랩(Grab)은 기본요금으로 40페소, 1킬로미터마다 추가로 10에서 14페소를 청구할 수 있다. 교통부는 육상교통가맹규제위원회(LTFRB)가 차량공유업체의 요금규제에 대해 전체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육상교통가맹규제위원회(LTFRB) 로고
-
2018-09-03미국의 글로벌 차량공유업체인 우버(Uber)에 따르면 비행택시 사업을 시작할 5개 국가를 선정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인도, 브라질, 프랑스 등이다.비행택시는 드론의 확장된 형태로 수직이착륙(eVTOL) 헬리콥터 모형을 갖추고 있으며 전기로 운행된다. 운전자와 승객을 포함해 총 5명이 탑승할 수 있다.일단 이륙하면 고공으로 올라가 목표 지점의 빌딩 옥상에 글라이드처럼 착륙할 수 있다. 2020년까지 후보 도시에서 비행실험을 거친후 2023년에는 서비스를 론칭할 계획이다.후보로 선정된 5개국 도시들은 일본의 도쿄(Tokyo)와 오사카(Osaka), 오스트레일리아의 멜버른(Melbourne)과 시드니(Sydney)로 일본와 오스트레일리아는 각 2개 도시씩 선정됐다.인도의 경우에는 3개 도시가 후보가 됐는데 뭄바이(Mumbai), 델리(Delhi), 방갈로르(Bangalore) 등이다. 나머지 2개 도시는 브라질의 리오데자네이로(Rio de Janeiro), 프랑스의 파리(Paris) 등이다.반면에 뉴질랜드 오클랜드(Auckland)는 후보 도시에서 제외됐다.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로 인해 배제된 것으로 분석된다.우버(Uber)가 오클랜드를 초기 후보도시로 선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선정에서 제외되면서 오클랜드는 비행택시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친 셈이다. 최종 후보까지 올랐으므로 향후 잠재적인 가능성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우버에어(Uber air) 로고
-
싱가포르 차량공유업체 그랩(Grab)에 따르면 신생 경쟁업체인 미캡(Micab)으로부터 제소를 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령부킹을 조장하고 있다는 이유때문이다.2018년7월 미캡(Micab)의 운전사들은 2만9000건의 유령부킹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6월 1만5000건에 비해 2배로 확대된 것이다.고객들이 예약을 했다가 갑자기 예약을 취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캡(Micab) 운전사를 그랩(Grab)으로옮기도록 조장하기 위한 목적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의심을 받고 있다.미캡(Micab)은 2018년 4월 사업허가를 받았으며 그랩(Grab)이 독점하고 국내 차량공유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미캡(Micab) 로고
-
필리핀 차량공유업체 그랩(Grab PH)에 따르면 운전사들이 예약요구를 거철하지 않도록 보상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예약자가 위치한 지역과의 거리에 따라 보상을 하게 되며 1킬로미터당 P 30페소가 지급된다. 인센티브는 승객이 내는 것이 아니라 회사가 감당한다.그랩은 관련 비용을 투자자나 회사의 매출에서 충당할 방침이다. 그랩은 경쟁업체인 우버가 운영하던 동남아시아 사업을 인수한 이후 시장 독점지배력을 높이고 있다.▲차량공유업체 그랩(Grab PH) 로고
-
글로벌 차량공유업체 우버(Uber)에 따르면 € 2000만유로를 투자해 프랑스 파리에 드론 택시 연구개발센터 설립할 계획이다. 향후 5년간 투자할 금액이다.파리에 유럽항공안전청(EASA)가 위치해 있어서 유럽의 항공규제기관과 밀접하게 협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8년 가을에 연구센터가 오픈한다.파리의 연구센터는 미국의 피처버그와 샌프란시스코, 캐나다의 토론토 등과 협력하게 된다. 다수의 기업이 드론 택시라는 개념을 적용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상용화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중국 이항의 드론택시 이미지(출처 : 이항 홈페이지)
-
필리핀 육상교통가맹규제위원회(LTFRB)에 따르면 차량공유업체인 그랩(Grab)이 불법적으로 최저요금을 징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반면 그랩은 2017년 6월 5일부터 세단과 6-좌석 자동차는 P 80페소, 프리미엄 자동차는 125페소의 최저 요금을 부과하고 있다.현재 그랩이 징수하고 있는 최저요금을 금지시킬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교통요금은 기본요금, 주행거리, 주행시간, 할증 등으로 구성돼 있다.현재 정부는 최저 요금은 2페소부터 시작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랩(Grab)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던 우버(uber)의 사업권을 인수해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차량공유업체인 그랩(Grab) 로고
-
글로벌 차량공유업체 우버(Uber)에 따르면 영국 런던을 날으는 택시 프로젝트인 우버에어(UberAIR)를 추진할 3번째 도시로 지정했다. 미국의 달라스, 로스엔젤레스 다음으로 지목한 것이다.하지만 다수의 교통전문가들은 우버에어(UberAIR)와 같은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는 실행가능성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교통혼잡이 심각한 런던과 같은 대도시에서 날으는 택시와 같은 교통망을 도입하겠다는 아이디어는 너무 좋지만 항공교통법규, 안전사고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우버(Uber)의 우버에어(UberAIR) 서비스 로고
-
글로벌 차량공유업체 그랩(Grab)에 따르면 향후 100일동안 필리핀 운전자를 훈련해 고객들의 승차경험을 향상할 계획이다. 고객들이 승차에 대한 불만은 많이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최근에 경쟁업체인 우버(Uber)를 인수한 이후 서비스에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호출한 이후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차량을 예약하기 어렵다는 불만도 나타나고 있다.특히 고객들은 차량의 운전자들이 예약을 일방적으로 취소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또한 운전자의 무례한 태도도 승차 불쾌감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차량공유업체 그랩(Grab) 로고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