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lcd"으로 검색하여,
3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영국 조폐국인 로얄 민트(Royal Mint) 빌딩 [출처=홈페이지]2024년 8월8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덴마크, 네덜란드를 포함한다. 영국은 정부 차원에서 전자 쓰레기로부터 금을 추출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해커에 의해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건에 대한 분석이 제기됐다.프랑스 중앙은행은 2024년 상반기 무역 거래에 관한 통계자료를 발표했다. 2023년 하반기에 비해 개선됐지만 여전히 적자를 기록했다. 에어버스는 경쟁사인 미국 보잉보다 더 많은 항공기 주문을 받고 있다.덴마크 풍력기업인 오스테드(Ørsted)는 드론을 활용해 작업을 진행하며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 네델란드 해운회사인 머스크(Maersk)는 2023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영국 로얄 민트(Royal Mint), 웨일즈에 전자 쓰레기로부터 금을 회수하는 공장 오픈영국 조폐국인 로얄 민트(Royal Mint)는 웨일즈에 전자 쓰레기로부터 금을 회수하는 공장을 오픈했다. 2022년 3월 건설을 시작했으며 연간 수백 킬로그램(kg)의 금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된다.국내에서 버려지는 스마트폰, 노트북, TV 등 연간 4000톤(t)에 달하는 전자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회수한 금으로 고급 반지, 목걸이, 귀걸이 등 886가지에 달하는 보석을 가공해 판매할 방침이다.금을 추출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캐나다 벤처기업인 Excir가 개발했다. 세탁기와 비슷하게 생신 통에서 전자폐기물을 돌리면서 금을 함유한 부품을 골라낸 후 분해한는 공정을 거친다.영국 정보위원회(Information Commissioner’s Office)는 2024년 8월7일 Advanced Computer Software Group에 £600만 파운드 이상의 벌금을 부과할 계획이다. 2022년 이후 랜섬웨어에 대한 조치가 부실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Advanced Computer Software Group는 국가보건서비스(NHS)에 정보기술(IT) 서비를 제공한다. 하지만 2022년 8월 NHS가 관리하는 8만2946명의 민감한 개인정보가 해커에게 유출됐다.당시 가정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고 이는 약 900명의 출입문 비밀번호 뿐 아니라 NHS 111를 포함한 개인들의 전화번호, 의료기록이 해킹당했다. 사용자의 인증이 부실한 것이 원인으로 드러났다.◇ 프랑스 중앙은행(Banque de France), 2024년 상반기 무역적자 400억 유로프랑스 중앙은행(Banque de France)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무역적자는 400억 유로로 2023년 하반기 450억 유로에 비해 감소했다. 에너지와 무기 수출이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2024년 상반기 수입액은 2023년 하반기에 비해 1.2% 축소된 반면 동기간 수출액은 0.4% 확대됐다. 수출은 의약품, 향수, 화장품 분야가 좋은 실적을 보였다.2024년 상반기 서비스 분야의 무역수지는 260억 유로 흑자를 기록했다. 금융산업의 흑자는 10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4년 상반기 경상수지는 80억 유로 적자로 2023년 하반기 110억 유로에 비해 대폭 개선됐다.프랑스 항공기 제조업체인 에어버스(Airbus)는 2024년 8월7일 홍콩 기반의 캐세이 퍼시픽(Cathay Pacific)로부터 A330-900s 30대를 주문받았다고 밝혔다. 계약 내용은 30대를 추가로 주문할 수 있는 옵션을 포함한다.계약금액은 US$ 110억 달러에 달한다. 최근 에어버스의 경쟁사인 보잉이 2024년 1월 알래스카 에어라인의 사고에 대한 조사를 받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 후 대규모 거래에 해당된다.에어버스는 2024년 7월 77대의 신형 항공기를 고객에게 인도했다. 이는 5월 53대, 6월 67대와 비교해서 증가한 수치다. 2024년 1~7월까지 70명의 고객에게 항공기 400대를 전달했다.◇ 덴마크 오스테드(Ørsted), 대용량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드론(HLCD) 개발덴마크 풍력기업인 오스테드(Ørsted)는 대용량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드론(HLCD)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해상풍력발전소를 건설하는 업무에 투입하기 위한 목적이다.현재 보르쉘 1 &2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임무를 수행 중이다. 배에서 무거운 화물을 풍력 터빈까지 옮기고 있다. 드론의 무게는 70킬로그램(kg)이며 날개 폭은 26미터(m)에 달한다.오스테드는 드론을 활용해 개별 터빈에 핵심적인 탈출 및 안전 정비를 설치하고 있다. 선박에 실은 화물을 크레인을 활용해 터빈으로 옮기는 것에 비해 비용도 적게 소요되고 매우 안전하다.네덜란드 해운회사인 머스크(Maersk)는 2024년 2분기 순이익은 7억98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했다고 밝혔다. 2분기 매출액은 127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중동지역에서 분쟁이 지속되며 수에즈 운하를 통고하는 대신에 아프리카 대륙을 우회하는 노선을 선택했다. 가자 지구에서 이스라엘군과 하마스의 군사 충돌, 예멘의 후티 반군의 공격 등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아프리카 노선은 수에즈 노선과 비교해 12% 정도 비용이 비싸다. 그럼에도 머스크는 2024년 연간 영업이익이 2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
2024-07-17▲ 제주시 한림읍 금능포구에 위치한 드론 배송 센터[출처=유튜브 삼성전자 뉴스룸]▲ 삼성전자 모바일 제품을 드론에 싣고 있는 직원의 모습[출처=유튜브 삼성전자 뉴스룸]국내 최고 기업인 삼성전자(회장 이재용)은 2024년 7월19일부터 드론을 활용해 제주도·여수·통영의 인근 섬 지역에 스마트폰 배송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배송할 스마트폰은 갤럭시 Z 폴드6·Z 플립6 ‘이다. 모바일 제품을 섬 지역에 드론으로 배송하는 것은 국내 최초다. 향후 적재 중량 10kg 이하의 △스마트폰 △태블릿 △버즈 △워치 등 갤럭시 모바일 품목 중심으로 배송 제품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드론을 제품 배송에 활용하면 선박 운항 종료 후 물류 취약 시간에도 배송이 가능하다. 선박 운항은 기상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평균 오후 4시에 끝난다. 현재 약 7일이 소요되는 제품 배송 기간이 1일로 대폭 단축된다.도서 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가 매장을 방문해 구매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어 고객 편의성도 대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드론 배송 서비스’는 국토교통부가 주관하는 ‘드론실증도시 구축사업’과 협업을 통해 진행된다. ‘드론 배송 서비스’는 지난 6월 제주도에서 시범 운영이 진행됐다.제주특별자치도에서는 상모리·금능 등에 위치한 드론센터에서 이륙해 가파도·마라도·비양도 등 3개 거점으로 배송을 실시한다.전라남도 여수 지역은 하화도, 제도, 송도 등이 대상이며 경상남도 통영 지역은 비산도, 좌도, 만지도 등 10여 개 이상 지역으로 순차 확대할 예정이다.삼성전자는 "드론 배송 서비스가 도서 지역 소비자들에게도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갤럭시 사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이며 앞으로도 소비자의 편의와 권익 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를 지속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참고로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디지털 미디어와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부문, 디지털 미디어 부분, LCD 부분, 반도체 부분, 통신 네트워크 부분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져 있다.
-
▲ 삼성전자 모델이 삼성전자 스마트모니터에 무빙 스탠드를 결합한 ‘무빙스타일’을 소개하고 있다[출처=삼성전자]한국 종합가전기업인 삼성전자(회장 이재용)은 7월14일 '무빙 스타일'의 인기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2023년 11월1일부터 2024년 6월30일까지 8개월 만에 국내 누적 판매가 5만 대를 초과했기 때문이다.'무빙 스타일'은 삼성전자 스마트모니터에 무빙 스탠드를 결합한 가전이며 편리한 이동성이 강점이다. 어디에서나 △업무 △학업 △OTT 서비스 △게임까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1인 가구나 신혼부부 등 젊은 세대들이 선호한다.혼수·이사 고객이 전체 ‘무빙스타일’ 구매의 30% 이상을 점유했다. 일반 모니터와 비교해 20~30대 여성 고객의 비중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디자인이 좋기 때문이다. 특히 화이트 색상은 어떤 인테리어에도 쉽게 어울려 이사, 리모델링이나 결혼 등으로 새로운 공간을 꾸미고자 하는 소비자가 선호한다.2024년형 스마트모니터 M8은 강화된 AI 기능으로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NQM AI 프로세서’를 탑재해 수준 높은 시청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4K AI 업스케일링’으로 저해상도 콘텐츠를 4K급으로 업스케일링 해줘 더욱 선명한 화질로 감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또한 화질은 물론 음질까지 AI 기술을 적용해 몰입감을 극대화해준다. 콘텐츠 배경음을 분석하고 주변 소음을 감지해 음성만 증폭하는 ‘AVA(Active Voice Amplifier) Pro’로 중요한 장면의 대사를 놓치지 않고 또렷하게 들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혼수·이사 시즌을 맞아 이동식 스크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모니터와 TV의 장점을 모든 갖춘 삼성의 스마트모니터와 무빙 스탠드를 함께 구매하는 소비자가 대폭 늘어났다"고 주장했다. 참고로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디지털 미디어와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부문, 디지털 미디어 부분, LCD 부분, 반도체 부분, 통신 네트워크 부분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져 있다.
-
삼성전자는 삼성그룹의 창업자인 이병철 회장이 주도해 1969년 설립한 삼성전자공업이 모태며 1984년부터 현재 상호인 삼성전자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970년부터 백색가전제품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 들어서는 흑백TV 사업부문의 호황으로 흑백 TV 수출실적 세계 1위를 달성했다. 가전제품과 반도체, 그리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휴대폰이 선풍적 인기를 끌면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2013년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 중 14위, 한국기업 중 1위를 차지한 삼성전자는 최근 이건희 회장의 건강 악화소식과 중국 전자회사들의 스마트 폰 시장 진출소식으로 인해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개요 [출처=iNIS]◇ 휴대폰 업계 세계 1위로 등극하며 성장 가도2000년대 초까지 전세계 반도체시장을 장악했던 삼성전자는 2000년대 중∙후반 휴대폰사업에 주력했다. 특히 2009년 말 출시된 애플의 iPhone 열풍에 힘입어, 삼성전자의 갤럭시, LG전자의 옵티머스, 구글의 넥서스원 등 많은 스마트 폰이 출시되어 스마트 폰 시장의 경쟁은 치열해졌고 스마트 폰의 대중화로 이어졌다.삼성전자의 ‘옴니아 2’와 애플의 ‘아이폰’이 2009년 말에 출시되었던 것을 감안하면 아주 급속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는 것이다. 다음은 삼성전자의 경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부문별 특징, 경쟁력,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을 살펴봤다.첫째, 삼성전자는 종합가전회사로서 무선기기, 부품, 디스플레이, TV 부문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무선 사업의 성장세가 지속됨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등 부품사업의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최근 몇 년간 신흥국 경기침체가 계속되고 유럽 경기 회복지연과 환율 변동성 또한 확대되는 가운데 주력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악화되는 등 어려운 경영 환경이 지속되고 있다.부품 사업의 경우,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고부가 D램의 경쟁력을 강화했으며, 업계 최초 V-NAND 양산으로 미래 성장의 기반을 확보했다. CIS(CMOS Image Sensor), 모바일 AP 등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도 기술 우위를 점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부문은 초고해상도 제품 출시와 Curved 디스플레이 상용화 등 기술 혁신을 계속 추구하고 있으며 세트 사업의 경우 스마트폰은 선진∙신흥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30% 이상 유지해 글로벌 1위로서의 위상을 지키고 있고, 태블릿 판매량도 2013년엔 2012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TV 부문은 9년 연속 1위를 달성할 것으로 보이며 초대형TV와 곡면 UHD TV를 중심으로 프리미엄 TV 시장을 주도할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삼성전자의 주요 지표 [출처=iNIS]둘째, 삼성전자는 2011년부터 매년 20%에 가까운 매출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증감률은 경쟁사를 압도하고 있다.매출은 표2에서와 같이 2013년 약 228조 6930억 원을 달성해 2011년 약165조 20억원 대비 약 38.6%가 증가했으며, 전년 대비 약 13.7%가 증가했다.영업이익 역시 2013년 약 36조 7850억 원)으로 2011년 약 15조 6440억 원 대비 약 135.1%로 급증했으며, 전년 대비 26.6% 급증했다.순이익은 2013년 약 30조 4750억 원으로 2011년 약 13조 7590억 원 대비 약 121.5% 늘어 났으며, 전년동기대비 약 27.8% 증가했다. 2014년 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 매출액은 1.53% 늘었고 당기순이익도 5.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영업이익은 3.31% 감소했다. 영업이익 감소는 1분기가 계절적 비수기로 수요하락이 주어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올해는 미국을 중심으로 유럽 등 전반적인 글로벌 경기 회복이 예상되나 이머징 국가의 통화 환율변동성 확대 등 불확실한 요인도 상존할 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경우, D램은 서버용 D램 등 기업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모바일 D램도 스마트폰의 성능 향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낸드플래시는 데이터센터향 SSD 채용과 모바일 기기의 고용량화에 따라 관련 수요가 예년과 같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실적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마지막으로 삼성전자는 애플의 명성에 뒤지기는 하지만 모바일 기기시장에서 수량으로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당분간 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애플, 구글, 아마존 등 경쟁업체들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수직적 통합을 통해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고 중국업체들이 가격경쟁력 내세워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것에 대해 삼성전자는 다양한 제품 라인업과 부품특허기술 개발에 집중에 이에 맞서고 있다.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지속적인 공정전환을 통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 변화에 따라 탄력적인 제품 라인업을 운영해 지속적인 실적 개선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시스템 반도체의 경우 20나노 고성능 모바일 AP와 해상도 한계를 넘은 차세대 '아이소셀 센서' 등 고부가가치 제품 출시를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14나노 핀펫 등 선행공정 개발도 이어가고 신규 거래선도 확대에 주력한다.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은 LCD패널의 경우 태블릿 수요 증가와 TV 수요 증가가 기대되며, OLED패널의 경우는 OLED패널을 채용한 제품군의 확대로 시장은 계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삼성전자는 대형 LCD 패널의 경우 UHD, Curved 패널 등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OLED패널은 스마 트폰 외 제품군 확대를 추진해 지속적인 매출 성장과 기술 경쟁력을 높일 예정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스마트 폰 시장은 지난해 대비 10%이상의 생산량 증가가 전망되고, 태블릿 시장도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삼성전자는 스마트 폰 사업에서 프리미엄 제품 라인업 확대뿐만 아니라 지역별∙가격대별 신제품도 확대하고 유럽, 중국 등 LTE 수요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태블릿은 대화면 제품 시장을 창출하고 보급형 모델을 확대하는 등 라인업 강화를 통해 성장과 수익성 제고를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TV는 올해 브라질 월드컵 경기개최로 인해 상반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LG 등 업체간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전문가들은 올해 상반기에는 IT제품의 계절적 비수기인 것과 TV수요 위축 영향으로 대폭적인 실적개선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삼성전자 경영승계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삼성전자는 그동한 사업혁신을 주도한 이건희 회장 이후 그룹 승계구도에 의해 미래 경영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향후 그룹 승계자로 아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 에버랜드 패션부문 사장이 거론되고 있는데 이들로 경영권이 승계될 경우 대폭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삼성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삼성그룹은 현재 한국 GDP의 16%를 차지하고 있어 한국경제의 영향력이 크며 이건희 일가는 삼성전자의 주식 전체의3.4%만 소유하고 있지만 순환출자를 통해 그룹 계열사들을 지배하고 있다.그룹의 중심축인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스마트 폰 부문의 낮은 성장으로 3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한 것에 대해 경영권 승계가 유력한 이재용 부회장이 어떻게 이 상황을 대처할 것인지에 대해 전세계의 언론 및 투자자들이 주목하고 있다.최근 미국의 유력 언론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삼성그룹의 경영권 승계에 대해 이 부회장이 준비가 돼 있는지에 대한 우려가 이 회장의 건강문제로 확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하지만 로이터통신은 “이 회장이 삼 남매 각자가 주력사업을 맡도록 하고 계열사 정리도 해놓았다.”며 삼성 회장직을 승계에는 다른 변수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블룸버그통신도 “삼성SDS 상장 등으로 승계작업에 속도를 내는 것으로 보이며 이 부회장이 경영권을 승계한다는 시나리오는 확정적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삼성전자는 이미 2007년에 모토로라를 제치고 세계 제2위의 휴대폰 제조업체가 되었으며 이후 스마트 폰 시대에 접어 들면서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부상했다.삼성전자 신용등급은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A+ 기록하는 등 전자분야 선두기업으로서의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당분간 경쟁자가 없을 것으로 예상됐던 스마트 폰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이 급성장하고 애플과의 특허분쟁이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미래가 점차 어두워지고 있다.하지만 삼성전자는 웨어러블기기 등 또 다른 혁신제품을 무기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려는 전략을 수립해 실천하고 있어 기대가 된다.
-
2021-06-22일본 재팬디스플레이(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에 따르면 액정 디스플레이를 판매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으로 가상현실 분야가 부상하고 있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높은 해상도를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VR 헤드셋은 완전히 새로운 콘텐츠 플랫폼과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했다.그러나 2020년 페이스북의 오큘러스 퀘스트2가 출시되면서 상황이 개선되기 시작한 것으로 평가된다. 에이치티씨(HTC) 및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주요 업체는 5년 전의 초기 OLED 디스플레이로부터 LCD 디스플레이로 이동했다.사용자 경험과 몰입도를 개선하기 위해 보다 경제적인 표준에 베팅했기 때문이다. 그 이유 중 하나는 OLED 제조업체가 소규모 시장을 놓고 경쟁하는 데 그다지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매년 수억 대가 판매되는 스마트 폰에 비해 인기있는 헤드셋조차도 수백만대 판매를 돌파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이러한 이유때문에 2020년 LCD 채택이 증가하고 향후 5년 동안 이 기술이 가상현실 디스플레이 시장을 지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재팬디스플레이(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1-01-11일본 다국적 전자부품 제조기업인 알프스알파인(アルプスアルパイン)에 따르면 차량 전용 디지털 거울을 개발했다.해당 신제품은 고감도 카메라를 통해 후방 시야를 비추는 것이 가능하다. 판매는 2021년 2월 중순부터 시작한다.11.1 인치의 화면과 고화질 LCD를 활용해 시야각은 좌우/상하 160도로 범위가 넓다. 카메라는 전면과 후면 모두 소니(ソニー)의 CMOS 이미지 센서인 STARVIS를 이용한다.▲알프스알파인(アルプスアルパイン) 홈페이지
-
2019-08-14중국 OLED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인 비저녹스(Visionox Co Ltd)에 따르면 스마트 폰, 웨어러블 기기, 차량 탑재 시스템 등에서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다.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5G, 빅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등의 더 많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아몰레드(AMOLED)는 기존의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LCD 패널과 비교할 때 더 빠른 응답으로 더 유연하고 대비가 높고 넓은 시야각을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비저녹스는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샤오미의 언더 스크린 카메라에 아몰레드 기술을 제공했다. 또한 2019년 5월에 출시된 ZTE Corp의 첫 5G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ZTE Axon 10 Pro에 대한 아몰레드 화면을 판매했다.또 다른 스마트 폰 제조업체 인 누비아 테크놀로지(Nubia Technology Co Ltd)는 비저녹스의 4인치 플렉서블 스크린을 이용해 최초의 웨어러블 시계형 스마트폰인 알파(Alpha)를 발표했다.비저녹스는 12월 허페이에 두 번째로 플렉서블 아몰레드 생산라인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월 3만개의 기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중국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은 지난 10년 동안 큰 진전을 이룩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특히 향후 몇 년 동안 중국의 아몰레드 기술은 중소형 디스플레이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hina-Visionox-OLED▲ 비저녹스(Visionox Co Ltd)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글로벌 환경단체 그린피스(Greenpeace)의 자료에 따르면 미디어업체인 넷플릭스가 가장 환경친화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기업이 사업을 추진하면서 각종 에너지자원을 소비하는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Co2)가 필요하다. 환경비용 관점에서 기업활동을 평가하는 것이다.e메일을 1통을 보내면 이산화탄소(Co2) 최대 50g을 배출하게 된다. 스팸 e메일의 이산화탄소배출량은 0.3g으로 추정된다.일반적인 e메일에는 전원 데이터센터까지 포함돼 컴퓨터가 메시지를 보내고 필터링하고 읽기까지 하는데 전력이 소비돼 이산화탄소배출량은 4g이 된다. 장문의 첨부파일까지 포함된다면 50g이 된다.32인치 CRT TV로 1시간을 시청하면 84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반면 15인치 LCD TV를 1시간 시청하면 37g, 42인치 플라즈마 TV는 240g을 각각 배출한다.게임콘솔은 전력을 먹는 하마로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2014년 1월 18일기준 PS4와 Xbox가 800만대 판매됐는데 이들이 사용한 전력은 8000기가와트에 달한다. 이산화탄소 300만톤을 배출한 셈이다.▲Netflix 홈페이지
-
LG전자는 LG그룹 계열의 대표적인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업체로 1958년 금성사(주)로 시작해 1995년 LG전자(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2002년 전자 및 정보통신 사업부문을 분할해 신설 법인으로 설립됐다.주요 사업으로 LCD·PDP 등 각종 TV와 PDP 패널 등을 생산·판매하는 홈 엔터테인먼트(HE) 부문, 이동단말 등을 생산·판매하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MC) 부문, 생활가전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홈 어플라이언스(HA) 부문 등으로 이뤄져 있다. 주요 종속회사로는 LG이노텍(주), (주)하이프라자, 이노베이션투자조합, 엘지히타치워터솔루션(주), 에이스냉동공조(주), 하이엠솔루텍(주), (주)하이엔텍, (주)하이텔레서비스, LG이노텍 얼라이언스펀드, 이노위드(주), (주)하누리 등 110여 개의 국내법인과 해외법인이 있다.LG전자 최근 모바일통신 부문이 4분기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다른 사업부문도 실적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2014년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 중 194위, 한국기업 중 5위를 차지한 LG전자의 기업개요는 표 1과 같다.▲ LG 전자의 개요 [출처=iNIS]◇ 삼성전자의 다변화 전략에 LG전자는 집중화전략으로 추격2014년 초부터 국내 메이저 전자업체의 상반된 스마트기기 전략이 눈길을 끌었다. 삼성전자의 경우 가능성 있는 운영체제(OS)는 뭐든지 시도하겠다는 밝히고 나선 가운데 LG전자는 오직 안드로이드 OS로 승부를 내겠다고 밝힌 것이다.전문가들은 두 회사의 전략 차이가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과 이익 차이에서 나온 것으로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2011년 3분기부터 전 세계 스마트폰 1위를 달리고 있는 것에 반해 LG전자는 3~4위권을 유지하고 있다.지난 6년간 전 세계 휴대전화 제조업체들이 거둔 이익 US$ 2150억달러(약 218조원) 가운데 삼성전자가 26.1%를 차지했다.LG전자가 벌어들인 이익은 1.2%에 불과했다. 승자의 여유를 즐기고 있는 삼성전자에 비해 LG전자는 사정이 다르다. 2012년 옵티머스G로 부활을 알렸지만 아직은 안드로이드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선택과 집중을 택한 LG전자가 올해 얼마나 활약을 할지는 스마트폰 사업부문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LG전자의 경영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부문별 특징, 경쟁력,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을 살펴봤다.첫째, LG전자의 주요 사업내용을 살펴보면 LG전자는 TV, 모니터, PC 등을 생산하는 Home Entertainment(HE)부문, 이동단말기를 생산하는 Mobile Communications(MC)부문, 냉장고, 세탁기, 전자레인지 등을 생산하는 Home Appliance(HA)부문, 가정용 에어컨, 상업용 에어컨 등을 생산하는 Air-Conditioning & Energy Solution(AE)부문, LED, Display & Network, 기판소재 등을 생산하는 이노텍 부문, 자동차부품, 컴프, 모터,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하는 기타 부문 등 총 6개 사업부문으로 나눠져 있다.MC부문의 경우 스마트폰 기술의 상향 평준화에 따라 중국의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의 제품 경쟁력이 향상돼 3위권 업체 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최근 모토롤라를 인수한 레노버를 비롯해 중국 업체의 글로벌 진출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LG전자는 G3 및 G Flex와 같이 신제품 출시와 더불어 구글과의 협력강화로 구글의 안드로이드 웨어를 탑재한 스마트워치인 LG G워치를 출시하는 등 기술영역을 확대하고 있다.올해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웨어러블 시장에 애플이 아직 신제품을 내놓지 않은 상황에서 LG전자와 삼성전자는 불꽃 튀는 각축전이 한창이다.양사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14’에 앞서 신제품을 선보였다. 우선 삼성전자는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삼성 기어S’를 선보였는데 ‘삼성 기어S’는 스마트폰과 연동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이 주변에 없을 때에도 3G 이동통신, 와이파이 등의 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2.0형 커브드 슈퍼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손목 위에서 더욱 많은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게 했다.지도 서비스업체 히어와 협력해 도보용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며, 파이낸셜타임즈, 스프리츠와 함께 뉴스 서비스도 제공한다.LG전자의 스마트워치 ‘LG G워치R’은 완벽한 원형의 플라스틱 O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했으며 풀 서클 디자인을 위해 제품 내부의 부품 설계도 최적화했다.특히 1.2GHz 퀄컴 스냅드래곤 400 프로세서, 410mAh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했는데 안드로이드 4.3 이상의 모든 스마트폰과 사용할 수 있으며 터치기반의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24시간 내내 화면이 꺼지지 않는 ‘올웨이즈 온(Always-On)’ 기능은 언제든지 시간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각 매체에서 이번 신제품의 디자인이 삼성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얻고 있어 이번 하반기가 주목된다.한편 삼성, LG에 이어 애플, 소니도 다음 달 웨어러블 기기 출시를 예정하고 있어 스마트 웨어러블 시장 주도를 위한 선도기업들의 경쟁 본격화될 전망이다.애플은 아이폰6와 함께 웨어러블기기 및 아이밴드를 발표할 예정이며 소니도 웨어러블 신제품 스마트워치3를 공개할 계획으로 있는 등 스마트 웨어러블 대전이 예상된다.글로벌 전자업체들이 웨어러블 기기를 미래성장동력으로 삼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소비자의 반응이 미지근해 웨어러블 기기가 미래 신수종 사업을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주장한다.어찌됐건 간에 스마트기기시장의 경쟁은 치열해지고 있어 LG전자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LG 전자의 주요지표 [출처=iNIS]둘째, LG전자의 2013년 실적은 2012년에 비해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매출은 표2에서와 같이 2013년 약 58조1403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약 5.5% 증가했다.영업이익도 2013년 약 1조2846억원으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순이익은 2012년에 비해 2013년에 크게 증가해 약 2227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116.6% 나 증가했다.LG전자는 최근 발표한 2분기 실적에 따르면 매출액은 15조3746억원으로 1분기에 비해 7.7% 늘어났으며 영업이익은 6천62억원으로 1분기에 비해 20.3% 늘어났다.당기순이익은 4118억원으로 1분기보다 무려 344.9%가 증가했는데 전문가들은 이 같은 실적에 휴대전화 사업부가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2분기 MC(Mobile Communications)사업본부의 매출만 3조6203억원이고 영업이익은 859억원에 달한다. 특히 G3가 큰 성공을 거두며 휴대전화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보급형 스마트폰의 매출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LG전자의 2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은 1450만대로 LG전자 역대 최대 실적이며 휴대전화 전체 판매량 역시 전 분기보다 15% 늘어난 1900만대를 기록했다. LG전자가 대규모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지만 여전히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규모는 작은 편이다.셋째, LG전자는 구글과의 협력해 스마트기기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기업경쟁력을 제고하고 있다. LG전자는 삼성전자, 애플 등 글로벌 선도업체와 동등한 경쟁을 하기 위해 최근 들어 구글과의 협력을 넓혀가고 있다.구글의 신형 운영체제(OS)를 탑재한 제품을 가장 먼저 출시하면서 브랜드 파워와 판매량을 늘려가고 있다. LG전자는 최근 미국에서 구글의 웨어러블(착용형) 기기용 OS인 '안드로이드 웨어'를 처음으로 탑재한 스마트워치 'G워치'를 공개해 관심을 끌었는데 이처럼 LG는 구글이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공개할 때마다 이를 사용한 하드웨어를 가장 먼저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2012년 '넥서스4', 2013년 '넥서스5' 출시에 이어 올해 초에는 구글의 PC용 OS '크롬'을 채용한 첫 일체형(올인원) PC인 '크롬베이스'도 내놓는 등 LG가 제1의 하드웨어 파트너로 자리 잡았다는 평가를 받는다.이러한 영향으로 LG전자의 MC사업본부는 지난해 3분기 이후 연속 적자를 기록하다가 올해 2분기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구글과 협업을 하면서 지속해서 쌓아온 역량을 바탕으로 3분기부터는 프리미엄 제품 G3가 글로벌 시장에 출시돼 더 좋은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하지만 다른 한편에는 구글에 너무 의존하면 회사 경영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많이 나오고 있다. 대만의 스마트폰 제조업체 HTC가 대표적 예인데 HTC는 스마트폰 초창기에 구글과 가장 가까운 제조사로서 시장을 주도했으나 구글이 삼성전자와 더 가까워지면서 시장 점유율과 영향력이 급락했다.이에 대해 LG전자는 스마트폰 외에도 TV·가전·에어컨 등 여러 부문을 갖춘 종합전자 기업이기에 구글의 영향력이 제한적이라고 강조한다.실제로 LG전자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에서는 구글 OS를 쓰지만 다른 부문에서는 자체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LG전자는 미국 HP에서 '웹OS'를 사들여 스마트TV용 OS로 활용하고 있으며 웹OS를 내장한 스마트TV는 전 세계 판매량이 200만대를 넘었다.그뿐만 아니라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세탁기·냉장고·에어컨 등 여러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홈챗' 플랫폼도 독자적으로 만들어 카카오톡이나 라인에서 가전제품에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에어컨을 켜고 끄거나 냉장고 온도조절을 가능케 했다. LG전자는 스마트폰 부문에서만 구글과 서로 윈윈(win-win)하는 관계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 파괴적인 혁신과 창조가 LG전자가 생존할 수 있는 길최근 LG전자는 2분기 실적 발표에서 모바일통신 사업부가 4분기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한 것을 밝히며 사업 전체가 부활에 성공했다고 강조했다.LG전자가 전략 스마트폰 G3의 판매호조에 힘입어 2분기 스마트폰 판매량 1400만대를 돌파했다. 지난 2분기에 매출 15조3746억원, 영업이익 6062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는데 각각 지난해 2분기보다 0.9%, 26.5% 각각 늘어난 수치다. 올해 1분기에 비해서는 각각 8%, 20.3% 늘어났다.전문가들은 여기에 부진했던 스마트폰 판매가 호조를 보인 것이 실적을 올리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모바일 통신(MC) 사업부문은 2분기에 매출 3조6203억원, 영업이익 859억원을 기록했는데 2013년 3분기 영업손실 이후 4분기 만에 흑자전환했다.분기당 스마트폰 판매량이 처음으로 1400만대를 돌파했고 2분기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 판매량이 2011년 이후 사상 최대인 515만대를 기록했다.이러한 실적 호조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지난 5월 출시한 스마트폰 ‘G3’인데 LG전자 측에서 G3의 구체적인 판매량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목표 판매량 1000만대를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한편 TV를 담당하는 홈엔터테인먼트(HE) 사업부도 사업부 가운데 가장 많은 매출인 5조909억원을 올렸다. 영업이익은 1545억원을 기록했으며 TV 신제품 판매가 호조를 보여 매출은 전 분기보다 3% 늘었다.초고화질(UHD) TV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등 프리미엄 제품 비중이 늘어나면서 영업이익이 전분기보다 65% 증가했다.냉장고와 세탁기 등 가전사업을 담당하는 HA 본부는 매출 3조305억원, 영업이익 978억원을 기록해 매출이 전분기보다 11% 늘었다.에어컨 판매를 담당하는 AE 사업부는 2분기에 매출 1조6350억원, 영업이익 1642억원을 올렸는데 각각 전분기보다 34%, 83% 늘었다.다만 애플 아이폰6 출시일이 다가오면서 LG전자의 상황이 바뀔 수 있다. 오는 9월 9일 아이폰6가 출시되면 G3 판매량에 직접적인 영향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이에 LG디스플레이 등 다른 전자계열사들은 아이폰6 출시가 오히려 기다려지는 상황인데 LG디스플레이는 LCD 패널을, LG이노텍은 카메라모듈을 공급하는 등 상당수 계열사가 애플에 부품을 납품하고 있기 때문이다.LG디스플레이는 아이폰6 수요에 대비해 최근 LCD 생산능력을 지난해보다 50~60%가량 늘렸다. 아이폰6 출시가 LG 전자 전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문제이다.LG전자는 스마트기기의 시장흐름을 놓치면서 스마트폰 시장에서 비주류로 밀렸고, 전통적으로 강한 가전제품도 중국 업체들의 저가공세로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이 급락하고 있다.급기야 국내 안방시장마저 중국 업체들에게 밀리고 있다. 그동안 수출 주력시장이었던 미국과 유럽시장의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프리미엄 가전시장의 규모가 축소되고 있는 것도 LG전자의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LG전자를 포함한 한국의 가전업체들은1970~80년대 글로벌 가전시장을 선도했던 일본 가전업체들이 디지털 시대의 변화를 읽지 못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사례를 직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파괴적인 혁신과 창조만이 LG전자의 살길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LG디스플레이는 1995년 TFT-LCD 사업을 시작했으며 OLED, Curved OLED, ULTRA HD 등의 기술력을 갖춘 글로벌 디스플레이 전문 제조회사다. 1985년 2월에 설립된 금성소프트웨어(주)가 모체이며, 1998년에 LG전자(주)와 LG반도체(주)로부터 LCD 사업을 분리해 LG디스플레이가 설립됐다.주요 사업은TFT-LCD 및 OLED 등의 기술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및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 등이다. 현재 파주에 TFT-LCD 공장, OLED 공장 및 연구소, 구미에 TFT-LCD 공장이 있으며, 미주, 유럽 및 아시아에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다.생산된 TFT-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해외로 수출하고 있는데 가격과 기술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2014년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 중 481위, 한국기업 중 17위를 차지한 LG디스플레이의 기업개요는 표 1과 같다.▲ LG 디스플레이의 개요 [출처=iNIS]◇ 올 하반기 애플 아이폰 6 등 신제품 출시로 실적 개선 기대LG디스플레이는 2010년 3분기 이후 계속 적자를 기록하다 작년부터 CEO 교체를 시작으로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 2013년 실적은 2012년에 비해 증가한 1조1633억 원으로 3년 만에 영업이익 1조원을 넘어섰다.OLED는 자동차용 플라스틱 기반 OLED와 OLED TV로 생산 능력을 확대해 시장점유율 1위를 확보하겠다고 목표를 세웠다.특히 올해 하반기에 애플이 출시할 아이폰 6에 디스플레이를 공급하면서 중소형 패널 분야에서도 수익성 개선의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는 LG디스플레이의 경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부문별 특징, 경쟁력,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등을 살펴봤다.첫째, LG디스플레이의 주요사업 내용을 살펴보면 LG 디스플레이는TFT-LCD, OLED 등의 기술을 활용한 디스플레이 및 관련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TFT-LCD의 경우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평판 디스플레이 제품의 하나로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욯나 장치산업으로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이 높아 경쟁사들에 비해 우위를 점하고 있다.하지만 노트북과 모니터 제품 등 전통 IT 제품시장은 성장이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태블릿(Tablet)과 스마트폰(Smartphone) 시장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TV 시장은 신흥국을 중심으로 소비자 욕구에 맞춰 대형 TV시장에 집중하고 있다.주요 경쟁사로는 한국에서는 삼성 디스플레이와 하이디스테크놀로지를 들 수 있으며 대만기업으로는 AU Optronics, Innolux, CPT, Hannstar 등을 들 수 있다.그리고 일본 경쟁기업으로는 Japan Display, Sharp, Panasonic LCD 등을 들 수 있고 중국기업으로 BOE, CSOT 등을 들 수 있다.LG디스플레이의 올해 1분기에 모니터 32.3%, 노트북 32.7% 태블릿 24.2% 등으로 전체 25.4%의 전 세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최근 LG디스플레이는 동종업계 라이벌인 삼성디스플레이와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최근 LG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시장이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흑자를 기록한 이유에는 애플이 있다.애플은 아이폰, 아이패드용 LCD 패널을 LG디스플레이로부터 공급받고 있어 애플의 판매실적이 호조를 보이면서 LG디스플레이의 실적도 덩달아 좋아지고 있는 것이다.TV용 대형 OLED 패널과 UHD LCD 패널 역시 LG전자 외 중국 TV 업체들에 공급을 시작해 좋은 실적을 이어나가고 있다.최근 삼성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관련 핵심 제조장비들을 대거 발주하며 가동 준비에 들어가 시험가동을 거쳐 내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가게 돼 앞으로 돌입한다는 방침이다.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뱅크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2020년까지 250배 성장해 연간 8억대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하지만 LG디스플레이는 아직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라인과 관련한 투자가 전혀 없는 상황이어서 미래 경쟁력이 취약해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낳고 있다.▲ LG 디스플레이의 주요지표 [출처=iNIS]둘째, LG디스플레이의 2013년 실적은 2012년에 비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크게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2013년 매출은 27조33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약 8.1%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2013년 1조1630억원으로, 전년 대비 27.5% 증가했다.순이익도 2012년에 비해 2013년에 크게 증가해 4190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77.5% 증가했다. 2010년 3분기 이후 지속된 적자 행진을 8분기 만에 흑자로 돌리는 데 성공한 이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계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올해 들어 대형 LCD 디스플레이 패널 가격이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LG디스플레이의 실적 호조가 예상되며 특히 하반기에 주요 공급처인 애플의 신제품 출시가 예정돼 있어 향후 전망이 밝다.아이폰6에 디스플레이를 공급하고 있는데 LG디스플레이 측에 따르면 애플의 스마트워치에도 패널을 공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그뿐만 아니라 UHD(초고화질) 패널에서도 LG디스플레이가 선전 중이다. 지난 5월 전 세계 UHD 패널 출하량 140만대를 가운데 LG디스플레이는 글로벌 2위(39만대)를 기록했다.전문가들은 올해 연말에는 LG디스플레이가 이노룩스를 제치고 1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원화강세와 광저우공장 가동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사업부의 부진 등이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셋째, LG디스플레이의 경쟁력은 다른 LG그룹회사와의 효율적인 협업과 다각화를 들 수 있다. LG 그룹은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등 주력계열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 차세대 성장엔진으로 꼽히는 친환경 자동차부품 사업을 육성하고 있다.이 사업은 이미 ′조′ 단위를 넘어서는 매출처로 급성장했는데 전기자동차, 스마트카 등 차세대 자동차 산업을 위한 각종 부품과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참여 계열사 가운데 LG디스플레이는 단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LG디스플레이는 다임러 벤츠, 도요타, 혼다, GM 등 세계 유수의 자동차 업체를 비롯해 국내 현대차, 기아차 등에도 CID(중앙 정보 디스플레이), Cluster(계기판)와 같은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제품의 넓은 시야각, 높은 해상도 등 자동차용 디스플레이로서 최적의 성능을 갖춘 IPS기술의 우수성을 바탕으로 시장의 반응도 좋다. 안정적인 공급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점해 나간다는 게 LG디스플레이의 계획이다.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의 자료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2013년 차량용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만 약 50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또한 신사업인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분야도 매년 30% 이상 성장해 2016년 매출 10억 달러, 2018년 매출 목표는 20억 달러로 세계 1위를 달성하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다.이를 위해 한층 더 진화한 화질의 AH-IPS제품, 터치 토탈 솔루션과 미래기술로 손꼽히는 투명 디스플레이, 디자인 강점을 갖춘 자동차용 플라스틱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의 기술을 선보이는 등 디스플레이 제품 가운데 특정 부분에 너무 치우치지 않고 선택과 집중으로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다. ◇ 일본 경쟁기업들의 맹추격에 따라 선택과 집중전략 수립해야최근 일본 전자업체들은 후발주자인 한국의 삼성전자와 LG전자 등에 뺏긴 전자왕국의 영광을 되찾기 위해 재정비에 들어갔다.TV,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전자 관련 모든 분야에서 관련 기업들이 연합해 한국 기업에 빼앗긴 1등 자리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소니, 파나소닉, 샤프 등은 구조조정을 마무리 짓고 자국 내 기업들 간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최근 소니, 파나소닉, 재팬디스플레이(JDI)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합작법인(JOLED) 설립할 계획을 발표했다. JOLED는 내년 1월 출범 예정으로 의결권은 민관 공동투자펀드인 산업혁신기구(INCJ) 75%, JDI 15%, 소니·파나소닉 각각 5%이다.JOLED는 태블릿, 노트북PC용 OLED를 비롯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발에도 착수했다. JOLED 설립 계획에 대해 LG디스플레이 측은 경쟁사들의 참여로 시장이 확대될 것이라는 긍정적 평가를 하면서 JOLED 설립은 LCD에서 OLED로 세대교체가 시작된다는 신호로 판단한다. 기술 안정화 등을 고려해 볼 때 JOLED에서 만드는 제품의 시장성 여부는 5년 이상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일본 전자업체들의 협력 사례는 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1년 도시바와 소니가 중소형 LCD 패널사업을 통합했고, 2013년 후지쯔, 파나소닉이 시스템LSI 사업을 합병했다.파나소닉은 지난해 PDP TV 사업에서 사업을 철수한 지난 5월 OLED TV 시장에서도 철수했다. 대신 시스템반도체 부문에 집중해 삼성전자와 일전을 벌일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그뿐만 아니라 소니는 스마트폰용 카메라 이미지센서(CIS), 파나소닉은 2차 전지개발, 도시바는 헬스케어, 샤프는 대형 LCD 등의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일본의 각 업체가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사업의 대부분은 LG 디스플레이와 상당 부분 중복되어 있어 LG디스플레이가 이들 기업과 전면전을 견뎌낼 수 있을지 의문이다.과거 일본 업체들은 소프트웨어 쪽으로 변화한 IT 시장 흐름을 놓치고, 하드웨어에만 고집해 급팽창한 IT시장을 잃었다고 판단하고 있다. 글로벌 주도권을 잃었지만, 대형 관련 기업들이 국가차원에서 협력을 추진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판단해 최근 다각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다.일본 기업들의 협력을 통해 신사업이 LG디스플레이와 겹치는 부분이 있는 만큼 다시 치열한 경쟁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관련 업계 전문가들도 OLED, 2차 전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등은 사업 초기단계인 만큼 시장 선점을 위한 기업 간 경쟁이 유례없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LG디스플레이가 선택과 집중 전략을 잘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