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원유가격"으로 검색하여,
2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5-23▲ 일본 재무성(財務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재무성(財務省)에 따르면 2024년 4월 무역수지는 4625억 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2개월 만의 무역적자로 원유가격 상승 등이 주요인이다.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수출액은 8조9807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8.3% 확대됐다. 미국용 하이브리드 자동차, 중국용 반도체 등의 제조장치 수출이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수출액은 4월로 보면 통계를 작성한 이후 비교 가능한 1979년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엔저로 가격 경쟁력이 개선된 것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수입액은 9조4433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8.3% 증가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 등으로 원유가격이 상승하며 수입액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무역수지 적자액은 2023년 4월과 비교하면 300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7.6% 증가했다. 4월에도 엔화의 평가절하가 계속 진행되며 수출입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수탁연구·정부위탁사업 전체 사업의 62.9%… 부채총계 105억무기계약직 연봉 정규직 48.5% 불과… 사회적 약자 채용 인색17일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 따르면 2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이 배럴당 80.18달러(약 9만86000원)로 전 거래일 대비 0.32달러 올랐다. 8거래일 연속 오른 것이며 올해 들어 처음으로 80달러를 상회했다. 중국 정부가 코로나19 규제를 완화하며 석유 소비가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다.석유에 대한 수요가 확대됨에도 공급 불안 요인인 해소되지 않아 국제유가가 더 오를 가능성은 높다. 러시아에 대한 석유 수출 규제, 이란의 핵실험으로 인한 경제제재,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감산 등이 새해에도 유지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해진 이유다.국무총리실 소속으로 국가 에너지·기후변화 관련 정책을 연구하는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스카이데일리·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EEI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가족수당 부정수급 가장 많은 연구기관KEEI는 지난해 12월11일 노사공동으로 ESG 경영 선포식을 개최했다. 지난해 상반기부터 전 직원의 의견을 수렴해 ‘2022~2024년 ESG경영 추진체계’를 마련해 10월 ESG경영위원회에서 최종 확정했다. ESG 경영 추진계획은 10대 추진과제와 25개 실천과제로 구성됐다.홈페이지에 ESG 경영헌장은 없다. 윤리경영을 위해 윤리규범·임직원 행동강령·연구윤리헌장·연구윤리규정을 제정했다. 연구윤리 강화·예산집행 투명성 제고를 위한 시스템 구축·자체 감사활동 강화 등이 윤리경영을 위한 노력 일환이다.자체 감사부서는 정원 0명에 현원 2명으로 설치됐다. 2021년 12월31일 기준 전문인력은 정원에 포함되지 않지만 1명이 배치돼 있다. 노동조합은 단일노조로 운영되고 있다. 가입대상 인원 158명 중 지난해 9월30일 기준 조합원수는 정규직 52명·무기계약직 42명이다. 노조 가입률은 59.4%로 낮은 편이다.2020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지난 5년간 경제인문사회연구원 산하 24개 국책연구기관 중 가족수당 부정수급이 가장 많았던 연구기관이 KEEI로 드러났다. 전체 적발건수 230건 중 50건으로 21.7%를 차지했으며 부정수급액은 2448만 원에 달했다.2021년 기준 주요 사업 현황은 △기본연구사업 25억900만 원 △연구지원사업 13억5700만 원 △수탁연구사업 31억8200만 원 △정부위탁사업 33억9500만 원으로 집계됐다. 수탁연구와 정부위탁사업이 전체 사업의 62.9%를 차지한다.2021년 기준 부채총계는 105억 원이며 자본총계는 349억 원으로 부채비율은 30.2%다. 부채는 △2017년 341억 원 △2018년 90억 원 △2019년 109억 원 △2020년 107억 원으로 2018년 급감한 이후 소폭 증가했다. 반면 자본총계는 △2017년 116억 원 △2018년 355억 원 △2019년 359억 원 △2020년 346억 원으로 2018년 대폭 확대됐다.2021년 매출액은 274억 원으로 2020년 272억 원 대비 큰 변화가 없다. 동년 당기순이익은 6억 원으로 2020년 10억 원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2021년 당기순이익으로 부채를 전부 상환하려면 17.1년이 소요된다.◇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 채용에 인색지난해 정규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9176만 원, 무기계약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4455만 원으로 무기계약직 평균 연봉이 정규직 평균 연봉 대비 48.5%에 불과하다. 정규직 여성의 연봉은 7033만 원으로 남성의 연봉 9721만 원 대비 72.3%로 낮다. 동일직종 동일 근속년수의 경우 남녀 보수는 동일하나 경력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했다.최근 5년간 정규직 신규 채용은 △2017년 4명 △2018년 9명 △2019년 10명 △2020년 7명 △2021년 9명으로 집계됐다. 신규 채용자 중 여성은 △2017년 1명 △2018년 4명 △2019년 4명 △2020년 4명 △2021년 4명으로 조사됐다. 동기간 장애인·비수도권 지역인재·이전 지역 지역인재·고졸인력 고용은 이뤄지지 않았다.최근 3년간 징계 건수는 △2020년 1건 △2021년 1건 △2022년 3월31일 기준 3건으로 집계됐다. 징계사유는 △직장 내 성희롱 △대외활동 미신고 △근태기록 부정행위 등으로 드러났다. 이외 기간의 징계 건수는 공개하지 않았다.사회공헌활동에서 봉사활동 횟수는 △2017년 5회 △2018년 4회 △2019년 7회 △2020년 12회 △2021년 10회로 등락을 반복했다. 기부 금액은 △2017년 1153만 원 △2018년 190만 원 △2019년 450만 원 △2020년 2379만 원 △2021년 1115만 원을 기록했다.지난 3년간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은 △2019년 1억5300만 원 △2020년 2억4200만 원 △2021년 2억4800만 원이다. 총구매액 대비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액 비율은 △2019년 10.1% △2020년 10.1% △2021년 15.5%로 증가세를 보였다.일·가정 양립 지원제도 중 육아 휴직 사용자는 △2017년 3명 △2018년 5명 △2019년 5명 △2020년 9명 △2021년 10명으로 집계됐다. 여성 사용자는 증가세를 보인 반면 남성은 2명 내외로 정체돼 있다.최근 5년간 직장어린이집 수혜인원은 △2017년 정규직 10명 △2018년 정규직 13명·무기계약직 1명 △2019년 정규직 17명·무기계약직 2명 △2020년 정규직 19명·무기계약직 4명 △2021년 정규직 16명·무기계약직 5명으로 조사됐다.홈페이지에 임직원을 대상으로 ESG 경영을 교육시킬 교재는 없다. 홈페이지에 에너지 부문 연구자료와 연구보고서 외에도 정기간행물을 공개했다. 정기간행물은 에너지포커스·국제원유가격·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등 글로벌 에너지 관련 동향이 주류를 이뤘다.▲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에너지 사용량·폐기물 발생량 평균 유지사업장별 에너지 총사용량은 △2016년 14.3TJ(테라줄) △2017년 13.7TJ △2018년 14.9TJ △2019년 14.6TJ △2020년 14.7TJ을 기록했다. 사업장별 용수 사용량은 △2016년 4980t △2017년 4378t △2018년 4634t △2019년 4714t △2020년 4261t으로 집계됐다.온실가스 감축률은 △2019년 25.0% △2020년 20.5% △2021년 29.3%로 등락을 보였다. 온실가스 기준배출량은 929tCO₂eq(이산화탄소 환산톤)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 696tCO₂eq △2020년 738tCO₂eq △2021년 656tCO₂eq으로 조사됐다.저공해 자동차 보유 현황은 △2019년 1종 1대·일반차량 4대 △2020년 1종 1대·일반차량 4대 △2021년 1종 1대·일반차량 4대로 집계됐다. 저공해 자동차 구매·임차 현황은 해당 사항이 없다고 공시했다.녹색제품 구매 실적 비율은 △2019년 100% △2020년 100% △2021년 80.0%을 기록했다. 녹색제품 구매액은 △2019년 83만 원 △2020년 166만 원 △2021년 800만 원으로 전체 예산 대비 소액이다.사업장별 폐기물 발생 총량은 △2016년 28.8t △2017년 29.4t △2018년 27t △2019년 27t △2020년 28t으로 집계됐다. 학술연구기관으로 폐기물을 배출할 요인이 적다.◇ 고차원적인 윤리의식 필요한 환경 연구△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지난해 12월 노사가 공동으로 ESG 경영을 선포했지만 ESG 경영헌장을 제정하지 않았다. 2018년 이후 부채가 많이 줄어들었지만 경영개선 노력보다는 자본 증액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가족수당 부정수급은 신뢰가 생명인 연구기관으로서 절대 허용되지 않는 부정행위다.△사회(Social)=무기계약직 연봉이 정규직의 48%로 낮지만 업무의 난이도 차이가 주요인으로 판단된다. 정규직 여성과 남성의 연봉 차이가 성별보다는 직급·경력의 영향이라면 상위직급 여성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의 고위직 승진을 막는 유리천장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환경(Environment)=학술연구기관으로 환경에 대한 고민이 많지 않아 대체로 양호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다만 국가 차원에서 기후변화 등에 관한 정책을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건전한 인식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가족수당조차 부정으로 수급하려는 업무 태도로 더 고차원적인 윤리의식이 필요한 환경연구는 불가능하다는 점도 잊지 않기를 바란다.▲ 김백건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출처=iNIS]- 계속 -
-
2022-06-08러시아 국영석유공사인 로즈네프(Rosneft)에 따르면 치솟는 원유 가격에 힘입어 기록적인 배당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최근 원유가격은 1배럴당 US$ 120달러를 넘나든다. 로즈네프는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 제재로 인해 증가하는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있다. 특히 원유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치솟는 원유 가격의 혜택을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로즈네프는 푸틴의 핵심 측근인 이고르(Igor Sechin)가 이끌고 있으며 러시아 원유 생산량의 40%를 담당하고 있다. 총 배당금 Rbs 4415억루블(US$ 70억달러)을 지급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로즈네프 연간 순이익의 절반에 해당한다. 이번 로즈네프의 기록적인 배당금 지급 발표는 국영가스공사인 가즈프롬(Gazprom)이 사상 최대의 배당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한 이후에 나왔다. 가즈프롬은 총 배당금 1조2400억루블의 지급을 발표했다.▲로즈네프(Rosneft) 로고
-
나이지리아 통계청(NBS)에 따르면 2022년 4월 물가상승률은 16.82%로 전월 15.92% 대비 상승했다. 가정용 소비재와 서비스 가격이 급등한 것이 주요인이다.더 많은 국민이 빈곤상태로 내몰리고 있다. 지속되고 있는 두 자릿수 물가상승률은 서민들의 구매력을 떨어뜨린다. 또한 은행이 생산적인 경제 부문에 대해 대출을 줄여야 함을 의미한다. 물가 상승 압력이 투입 비용 상승에 영향을 미치면서 식료품 가격이 계속 치솟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향후 3개월 이내에 물가상승률은 2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농업은 디젤 가격과 비료 가격이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유가격이 급등하며 디젤 가격도 올랐다.2021년 5월 중순 디젤 가격은 1리터당 N280나이라였지만 1년 후인 2022년 5월 중순 현재 1리터당 700나이라에 판매되고 있다. 비료 가격은 1년 전 1팩당 1만4000나이라였지만 2022년 5월 중순 현재 1팩당 1만7000나이라이다. 인산염과 칼륨은 러시아로부터 수입되는 비료의 40~5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비료 가격의 급등세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통계청(NBS) 홈페이지
-
2022-01-24일본 총무성(総務省)에 따르면 2021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020년 12월 대비 0.5%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4개월 연속 증가한 것이다. 변동이 큰 신선식품을 제외한 종합지수로 전기요금 등 에너지 관련 품목의 가격 인상으로 인해 전체 부문이 상향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품목별로 높은 원유가격으로 인해 에너지 전체는 16.4% 상향됐다. 에너지 관련 품목의 상향만으로 지수는 1.12포인트 올랐다. 전기요금은 13.4% 높아졌으며 상향폭은 1981년 3월의 41.2% 기록 이래 40년 9개월만에 큰 폭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총무성(総務省) 로고
-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1년 8월~10월 3개월 동안 반달리즘(vandalism)으로 N5560억나이라의 원유가 손실된 것으로 집계됐다.반달리즘이란 석유 시설 및 파이프라인 파괴, 지역사회의 간섭 등을 일컫는다. 이에 따라 반달리즘이 진행되던 2021년 8월~10월 국영석유공사는 지속적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2021년 8월, 9월, 10월 나이지리아산 원유가격인 브렌트(Brent)산 1배럴당 평균 가격은 각각 US$70.75달러, 74.49달러, 83.54달러였다.2021년 8월, 9월, 10월에 있었던 반달리즘으로 인한 원유 생산량 감소는 각각 668만620배럴, 636만2700배럴, 482만4946배럴이었다.반달리즘으로 인한 막대한 피해 금액에 대해 국영석유공사는 연방정부로부터 빌려서 자금을 조달하는 등 국가 부채가 증가하는 주요인으로 작용한다. 지역 사회 및 다른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해 반달리즘 위협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국영석유공사(NNPC) 홈페이지
-
2021-02-10노르웨이 해양 시추업체인 시드릴(Seadrill Ltd)에 따르면 자회사인 시드릴 아시아(Seadrill Asia)의 파산을 미국 파산법원에 신청했다.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글로벌 석유수요가 줄어들면서 시추사업이 불황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2018년 이후 지난 4년 동안 두번째이다.해당 파산 내역에는 Seadrill GCC Operations, Asia Offshore Drilling Ltd., Asia Offshore Rig 1 Ltd., Asia Offshore Rig 2 Ltd., Asia Offshore Rig 3 Ltd 등이 모두 포함됐다.2021년 2월 3일 주요 채권자들과 2월 중순까지 재정조달 문제를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참고로 시드릴은 2005년 노르웨이 억만장자인 존 프레드릭슨에 의해 설립됐지만 2014년 원유가격 하락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시드릴(Seadrill Ltd) 해상 시추시설 전경(출처 : 홈페이지)
-
2021-01-29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2020년 한 해 동안 나이지리아는 US$ 26억달러 규모의 해외직접투자(FDI)를 유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9년 FDI 유치액 33억달러 대비 감소했다. 이로써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이집트에 이어 2위의 우선 투자지로 떠올랐다. 1위인 이집트의 2020년 FDI 유치액은 55억달러로 전년 대비 39%나 감소했다. 3위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2020년 FDI 유치액은 25억달러로 전년 46억달러 대비 50% 이상 줄었다.2020년 아프리카 대륙의 FDI 유치액은 380억달러로 전년 460억달러 대비 18% 감소했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부정적인 경제 영향을 받으면서 원자재의 낮은 가격과 줄어든 수요가 주요인이다.코로나-19로 인한 이동 제한으로 석유 개발 현장 및 광산 폐쇄, 국제 원유가격 하락 등은 석유수출국 및 광산업 국가들에 대한 FDI 유치에 부담을 줬다.▲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중앙은행(CBN)에 따르면 2020년 1~2월 2개월 동안 순외환수입액은 US$ 205억달러로 전년 동기 94억1000만달러 대비 11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 1~2월 2개월 동안 외환유입액은 332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208억9000만달러 대비 59% 확대됐다. 하지만 외환유출액은 127억6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114억8000만달러 대비 11.1% 증가에 그쳤기 때문이다.반면 2020년 2월말 기준 국제 원유가격은 1배럴당 58.45달러로 11.7%나 떨어졌다. 중국발 코로나-19 감염병이 지속적으로 확산돼 수요가 위축됐기 때문이다.▲중앙은행(CBN) 홈페이지
-
2020-07-16나이지리아 재무부에 따르면 2020년 7월 첫째주 국내 초과원유계정(ECA)은 US$ 7200만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현재 80년대 초반에도 볼 수 없었던 전례 없는 원유 매출액 위기로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5년 동안 ECA는 98%나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ECA는 정부가 보유한 저축예금계좌이며 세출 법안에 포함된 원유의 시장가격과 원유의 예산가격의 차이에 의해 자금이 조달된다. 2019년 11월 ECA 잔액이 당시 기록된 가장 낮은 잔고 중 하나인 3억2450만달러를 보유한 것으로 보고된 이후 우려가 제기돼왔다.2020년 3월 원유가격은 제로(0) 이하로 추락했다. 2020년 6월 중순 이후 최근 몇 주 동안 1배럴당 40달러 이상 상승했지만 나이지리아의 이전 예산 기준 원유가격보다는 여전히 낮다.▲정부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