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개발 좌초와 같은 지지부진한 정책으로 경제가 어려워진 전북(3)
민진규 대기자
2019-07-26
새만금개발사업도 지역공항과 세계잼버리대회 유치만으로 성공하기 어려워, 문화유산을 관리하고 홍보할 전문가 확충으로 관광산업 돌파구 찾아야

전근대적 시각으로 행정을 추진하면서 발전 잠재력 훼손해

 종합적으로 전북의 자치행정을 평가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전북의 자치행정은 10점 만점에 평균 2.0점으로 최하 수준의 낙제점을 벗어나지 못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 5개 대지표 모두 10점 만점에 2점을 받았다. 체면을 중시해 평가에 관대한 한국적 관행에 비춰본다면 최악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전북은 전라남도와 마찬가지로 패거리 지역정치, 지역경제의 철저한 붕괴, 지역발전 청사진도 그리지 못하는 공무원 사회, 스포츠 이벤트로 관광객을 유치하겠다는 유치한 발상, 구호만 난무하는 인재유치 전략 등이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세부 내역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오곡밸리모델로 평가한 전북 자치행정

첫째, 정치는 호남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적 기반에도 불구하고 중앙 정치에 두각을 나타내는 정치인이 배출되지 않는 것은 지역주민의 정치의식이 낮기 때문이다.

삼국시대부터 호남은 인물이 많이 났고 전북도 전남에 못지 않게 인재가 풍부했다. 정동영이 대통령 선거에서 실패한 것도 아쉽지만 정치적 품성에서 비난을 받으면서 지역정치인의 이미지가 훼손된 것은 안타깝다.

정동영 이후 정세균이 국회의장까지 맡으면서 지역 정치의 거물로 등장했지만 찻잔 속의 미풍에 그쳤다. 당분간 전북 출신 중에서 중앙정치 무대를 화려하게 장식할 정치인은 나올 가능성이 높지 않다.

정치는 경제적 기반과 인구를 토대로 성장할 수 있는데 지역경제가 나락으로 떨어져 희망은 점점 절망감으로 변하고 있는 것도 감안해야 한다.

둘째, 경제는 대표적인 산업인 조선산업과 자동차산업이 붕괴된 이후 대체산업을 찾는데 실패해 재도약의 모멘텀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새만금개발사업으로 전환점을 삼으려고 노력하지만 경제성도 없는 지역공항을 짓고, 세계 잼버리대회를 유치했다고 경제가 호전될 가능성은 없다. 경제는 구호가 아니라 체계적인 발전전략을 수립해 지속적으로 추진할 때 살아난다.

전라남도가 친환경 농업과 관광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는데, 오히려 전북보다 산업기반은 풍부한 편이다. 광양의 제철단지, 여수의 화학단지는 국내외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은 변변한 공단 하나 없으면서 새만금만 개발되면 국내 최고의 지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것처럼 착각하고 있다.

셋째, 사회는 국내 다른 지방자치단체와 마찬가지로 인구의 고령화, 청년층의 이탈, 백약이 무효인 출산장려정책, 부패지수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공무원 등으로 인해 저성숙 단계에 머물러 있다.

소득세 감면에서 자녀공제혜택을 늘려야 한다는 탁상공론으로 행정실적을 자랑하는 수준으로 인구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아이를 많이 출산하면 수천만 원, 수억 원의 격려금을 준다고 해도 낳지 않는 이유도 모르고 있거나 애써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한심한 일이다.

지방자치행정이 주민의 의지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나름 엘리트라고 하는 공무원의 주도하고 지배하는 ‘공무원 공화국’으로 전락한 지 오래다. 전북도 공무원 출신이 도지사가 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아무래도 공무원 출신은 지방행정을 펼치는데 주민보다는 공무원을 우선하기 때문이다.

넷째, 문화는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와 마찬가지로 전북도 다양한 문화유산이 많은 편인데 효율적으로 활용하지는 못하고 있다. 전국의 문화기행을 많이 한 필자도 모르는 문화유산이 많고, 초라하게 관리하는 문화재도 많은 편이다. 황량한 들판 한 가운데 서 있는 석탑이나 문화유산에서 감흥을 느끼지 못해 다시 방문하고 싶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전북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문화유산을 관리하고 홍보할 수 있는 전문가가 부족한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250년의 역사에 불과한 미국도 다양한 문화유산을 관리해 전세계에서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는데, 1000년의 찬란한 역사를 갖춘 전북이 제대로 된 문화정책이 없다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기술은 산업을 기반으로 육성되는 것인데 산업단지가 황폐한 상황에서 수준을 논한다는 것 자체가 사치에 불과하다.

이미 군산의 조선과 자동차 산업은 붕괴되었고 다시 재생할 수 있는 가능성은 낮아 논외로 치고, 봉담공단의 농기계와 재생 자동차부품산업, 익산의 보석가공산업 등이라도 부흥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기술의 발전은 인재로부터 출발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에 근무할 청년층의 잔류를 유도하는 것보다는 석∙박사급의 유능한 인재가 전국에서 몰려들 수 있는 연구개발(R&D)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좋다.

막연히 4차 산업혁명을 활용하겠다고 주장하지 말고 우선 인공지능(AI), 드론(Drone), 로롯(Robot), 빅데이터(Big data) 등으로 주제를 정할 필요가 있다. 도지사도 정치가 아니라 기술이 지역을 살리는 가장 핵심이라는 사실을 유념하기 간절하게 바란다. 

– 끝 -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경제 분류 내의 이전기사